본문 바로가기
경제

스테이블코인 결제 카드, 국내에서도 가능할까?

by White-Metal 2025. 7. 12.

스테이블코인 결제 카드

스테이블코인 결제 카드: 국내에서도 가능할까?

 

해외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스테이블코인 결제 카드 사례들을 종종 뉴스나 기사에서 접하게 됩니다. 그러면  '과연 한국에서도 스테이블코인으로 편리하게 결제할 수 있는 날이 올까요?

 

스테이블코인이란?

 

스테이블 코인이란? 필요성, 법정화폐와의 차이점, 암호화폐와의 차이점 및 종류

스테이블 코인이란? 필요성, 법정화폐와의 차이점, 암호화폐와의 차이점 및 종류 안녕하세요, 암호화폐에 관심 있는 여러분!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유명한 암호화폐들은 혁신적인 기술과 함께

smilemetal-3.smilehee.com

 

 

해외는 활발, 한국은 아직 '준비 중'

 

해외에서는 이미 비자(Visa), 마스터카드(Mastercard) 같은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가 암호화폐 플랫폼과 협력하여 스테이블코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페이팔(PayPal)의 자체 스테이블코인 PYUSD, 코인베이스(Coinbase) 카드 등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가상자산이 실물 경제에 깊숙이 들어오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죠.

하지만 한국은 아직 갈 길이 멀다는 것이 대다수 기사의 분석입니다. 국내에서는 가상자산을 직접 실물 결제에 사용하는 것이 여러 가지 이유로 제한적이기 때문입니다.


해외는 ‘가상자산 일상결제’ 바람…韓은 아직 멀었다 (2024.03.04)

News1 코리아: https://www.news1.kr/finance/blockchain-fintech/5760000

 

"테더로 한끼 해결"…'코인 결제' 선점한 결제사[달러 코인 일상 침투]④

"코인 현금화 필요 없어" 스테이블코인 결제 카드 인기…한국서 밥값 결제 스테이블코인 거래액, 韓 GDP의 '8배'…시장 선점 나선 골리앗 결제사들 '현금에서 카드, 그리고 이젠 스테이블코인'물

www.news1.kr

 

 

 

'골든타임' 앞둔 원화 스테이블코인..."이대로는 뒤처진다"

한국은 이미 늦은 건 아닐까.원화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논의가 지체되면서 업계 안팎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미국·일본·싱가포르 등 주요국이 민간 스테이블코인을 제도 안으로 끌

zdnet.co.kr

 

 

 

한국에서 스테이블코인 결제 카드가 어려운 이유

 

국내 언론 기사들은 한국에서 스테이블코인 결제 카드 도입이 어려운 주된 이유로 다음과 같은 점들을 꼽고 있습니다.

 

금융 당국의 규제 기조

한국의 금융 당국은 가상자산에 대해 보수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금세탁 방지(AML) 및 투자자 보호에 중점을 둔 규제가 강하여, 가상자산의 직접적인 결제 수단 활용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부족합니다.

현재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특금법)'**을 통해 가상자산 사업자를 규제하고 있지만, 결제 영역에 대한 구체적인 허용 여부나 방식에 대한 명확한 법적 틀이 미비한 상황입니다.

 

높은 가격 변동성 (스테이블코인 외 가상자산)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과 같은 일반 가상자산은 가격 변동성이 매우 큽니다. 결제 시점과 정산 시점의 가격 차이로 인해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 손해를 볼 수 있어 실물 결제 수단으로는 부적합하다는 인식이 강합니다.

물론 스테이블코인은 이러한 변동성을 줄여주지만, 국내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의 발행 및 유통에 대한 법적 근거가 아직 명확하지 않습니다.

 

인프라 부족 및 대중 인식

가상자산 결제를 위한 인프라가 아직 충분히 구축되지 않았습니다. 대다수의 상점이 가상자산 결제를 받을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며, 일반 대중의 가상자산에 대한 인식 또한 '투자'나 '투기'의 대상으로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럼에도 희망은 있다: 변화의 조짐들

 

부정적인 요인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국내 언론 기사들에서도 스테이블코인 결제 카드 도입의 긍정적인 신호들이 포착되고 있습니다.

 

가상자산 관련 법률 정비 논의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는 등 가상자산 시장의 제도권 진입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법적 기반이 마련되면, 향후 결제 영역에 대한 논의도 구체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 발전과 함께 국내 핀테크 기업들도 가상자산을 활용한 새로운 금융 서비스 모델을 꾸준히 연구하고 있습니다.

 

해외 사례 학습 및 영향

해외 주요국에서 스테이블코인 결제가 활성화되는 추세는 국내 금융 당국과 기업들에게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됩니다. 글로벌 트렌드에 발맞춰 국내 규제 및 서비스도 점진적으로 변화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의 CBDC 연구

한국은행은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비록 스테이블코인과는 다르지만, 국가 주도의 디지털 화폐에 대한 논의는 전반적인 디지털 자산의 결제 가능성을 열어주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시간은 걸리겠지만, 언젠가는

 

현재 한국에서 스테이블코인 결제 카드를 활발히 사용하는 것은 어렵지만, 이는 '불가능하다'기보다는 '아직 때가 아니다'에 가깝습니다. 금융 당국의 명확한 규제 프레임워크 구축, 기술 인프라 확충, 그리고 대중의 인식 변화가 뒷받침된다면, 한국에서도 스테이블코인으로 편리하게 결제하는 시대가 올 것입니다.

과연 언제쯤 우리가 가상자산 카드로 결제하는 날을 맞이할 수 있을까요? 

 

스테이블코인 결제 카드